DAY-84 공공데이터 활용
💻2022-07-04
❗ 수업을 듣고, 개인이 공부한 내용을 적은 것 이기에 오류가 많을 수도 있음
1️⃣ 공공데이터 활용
- 응답 데이터 형식은 xml or json으로만 이루어져 있다(둘중에 하나만 사용 가능)
🔔 개념
❓ ObjectMapper란
- JSON 컨텐츠를 Java 객체로 deserialization 하거나 Java 객체를 JSON으로 serialization 할 때 사용하는 Jackson 라이브러리의 클래스이다.
- ObjectMapper를 이용하면 JSON을 Java 객체로 변환할 수 있고, 반대로 Java 객체를 JSON 객체로 serialization 할 수 있다.
💡 JSON → Java Object
- JSON 파일을 Java 객체로 deserialization 하기 위해서는 ObjectMapper의 readValue() 메서드를 이용한다.
💡 Java Object → JSON
- Java 객체를 JSON으로 serialization 하기 위해서는 ObjectMapper의 writeValue() 메서드를 이용한다.
https://velog.io/@zooneon/Java-ObjectMapper를-이용하여-JSON-파싱하기
💻 Code
1) JSON
PublicDataController
- json을 map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jackson-databind 라이브러리 필요
- ObjectMapper를 이용
- String에 json이 담겨있어서 jsp 파일에서는 사용 불가 → map으로 변환 후 사용
- Json → Map으로 변환이기에 readValue() 사용
2) XML
- jackson-dataformat-xml 라이브러리 사용
- XmlMapper를 사용
3) Ajax (Json)
PublicDataController
- @RequestMapping(produces=”application/json; charset:UTF-8”) 선언 : jsp로 데이터를 보낼 때 json 데이터라고 명시 / 한글이 안깨지게 charset
publicAjax.jsp
4) Ajax (xml)
publicAjax.jsp
- @RequestMapping(produces=”application/xml; charset:UTF-8”) 선언 : jsp로 데이터를 보낼 때 xml 데이터라고 명시 / 한글이 안깨지게 charset
publicAjax.jsp
@Produces : 출력하고자 하는 데이터 포맷을 정의한다.
Leave a comment